· Algorithm
지난 게시물에서 스택과 큐 중 스택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큐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큐는 아래와 같이 정의 내릴 수 있다. 큐 (Queue) 란 맛집에서 서는 대기줄과 같다. 대기줄을 설 때 처음 줄을 선 사람은 가장 앞에 서고 점점 그 뒤에 사람들이 대기줄을 서게 된다. 이후 자리가 나게 되면 대기줄의 가장 첫 사람이 식당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비유는 큐를 설명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를 큐에서의 데이터 삽입, 삭제와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 - 삽입 (push / add) : 대기줄에 한 명씩 차례대로 서는 것 - 삭제 (pop / delete) : 대기줄의 가장 앞에서부터 한 명씩 빠지는 것 스택과는 반대로 큐는 선입선출 (First In First Out, FI..
· Algorithm
Chapter 5. DFS/BFS를 들어가기 앞서 자료구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먼저 탐색(Search)과 자료구조(Data structure)에 대해서 알아본다.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뒤에서 작성하게 될 그래프, 트리 등의 자료구조 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알고리즘이 자주 등장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DFS 혹은 BFS 등의 탐색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이러한 탐색 알고리즘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의미한다. 그 중 스택(Stack)과 큐(Queue)는 자료구조의 기초 개념이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 게시글에서 다루기로 한다. 스택과 큐..
공대생안씨
'큐'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