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하 테스트1-1. 부하 테스트란 ?부하 테스트 (Load Test)시스템이 일정 수준 이상의 트래픽이나 사용자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주로 웹 서비스, API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성능 한계나 병목 구간을 찾기 위해 사용함 1-1-1. 주요 부하 테스트 유형Load Test : 점진적으로 부하 증가 → 시스템 성능 측정Stress Test : 정상 한계를 넘는 부하를 가함 → 시스템 안정성 확인Spike Test : 짧은 시간에 급격한 부하를 가함Soak Test : 장시간 일정 부하를 가함 → 시스템의 메모리 누수, 성능 저하 여부 확인 1-2. 테스트 진행 이유2025.05.16 - [DevOps/Monitoring] - [DevOps/Monitoring] AWS EC2에..
1. 모니터링 시스템1-1. 사용 이유단순한 로그만으로는 운영 상태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서비스의 성능, 상태, 오류 등 실시간 정보 파악 및 대응 가능특히 운영 환경 (Production)에서는 메트릭 기반 모니터링이 필수임 1-2. 구성 요소메트릭 수집기 (Collector) :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CPU 사용량, 요청 수, 에러 수 등 다양한 지표 수집ex) Prometheus, Telegraf, StatsD 등저장소 (Time-Series DB) : 수집된 데이터를 시계열로 저장ex) Prometheus 내장 TSDB, InfluxDB 등시각화 도구 (Dashboard) : 데이터를 그래프, 차트 등으로 시각화 ⇒ 직관적인 분석 가능하게 함ex) Grafana, Kibana 등알림 시스템 (Al..
1. 로드 밸런싱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시키는 기술하나의 서버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 ⇒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 높일 수 있음! 1-1. 로드 밸런싱 필요성트래픽 분산사용자가 많은 애플리케이션 ⇒ 모든 요청이 단일 서버로 들어오면 해당 서버가 과부하 ⇒ 성능 저하로드 밸런서는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시켜 이 문제를 해결 가능고가용성서버 중 하나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로드 밸런서는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트래픽을 우회시킴 ⇒ 서비스의 지속성 유지장애 조치(Failover)특정 서버에 장애 발생 ⇒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다른 서버로 요청 전환 ⇒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음스케일링사용자가 증가함 ⇒ 서버 추가, 수평 확장 해야할 때 ⇒ 로드 밸런서는 새로운 서버를 쉽게 통합하여 트..
1. AWS 이용한 배포 자동화1-1. AWS CodePipeline소스 코드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빌드 및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통합 및 배포(CI/CD)를 지원하는 서비스주로 세 가지 주요 스테이지로 구성됨소스 스테이지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가 저장된 위치에서 코드를 가져오는 단계일반적으로 GitHub, AWS CodeCommit, S3 등의 소스 리포지토리에서 소스를 가져옴빌드 스테이지소스 코드 컴파일 + 필요한 의존성 설치 + 애플리케이션 패키징하는 단계AWS CodeBuild 사용하여 이 과정을 자동화함배포 스테이지빌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환경에 배포하는 단계다양한 AWS 서비스(AWS Elastic Beanstalk, Amazon ECS, AWS Lambda 등)를 ..
0-1. AWS EC2 생성 방법2023.12.28 - [DevOps/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1. 기본 개념 AWS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서버 인스턴스를 쉽고 빠르게 설정하고 관리 가능 가상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므로 하드blogan99.tistory.com 0-2. AWS EC2 인스턴스 접속 방법2023.12.28 - [DevOps/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2023.12.28 - [..
0. 도메인 구매이 게시글에서는 가비아 (https://www.gabia.com/) 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연결하는 방법 설명함https://www.gabia.com 접속 후 원하는 도메인 이름 검색 > 구매 1. AWS Route 53 > 호스팅 영역 생성AWS 접속https://aws.amazon.com/ko/ 접속 > 로그인 route 53 검색 대시보드 > 호스팅 영역 생성 호스팅 영역 구성 설정도메인 이름 : 구매한 도메인 주소 입력설명 : 호스팅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설명 입력 (선택 사항)유형 : 퍼블릭 호스팅 영역 2. 가비아 네임서버 설정My가비아 > 서비스 관리 탭 클릭구매한 도메인에 대해서 관리 클릭 하단의 네임서버 탭의 설정 클릭 네임서버 목록 > 호스팅명 기입기입할 정보 : AWS..
2023.12.28 - [CI,CD] - [CI/CD] Docker로 프로젝트 배포 및 중단 [CI/CD] Docker로 프로젝트 배포 및 중단 2023.12.28 - [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 2023.12.28 - [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1. 기본 blogan99.tistory.com 1. Github Actions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 이전 게시글에서 생성해 둔 레포지토리와 샘플 프로젝트 사용 1-1. Github Actions 시작 레포지토리에 들어가서 Acti..
2023.12.28 - [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 [CI/CD] AWS EC2 인스턴스 SSH 접속 + Docker 설치 2023.12.28 - [CI,CD] -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CI/CD]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1. 기본 개념 AWS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서버 blogan99.tistory.com 1. Docker로 프로젝트 배포 아래의 샘플 프로젝트를 배포함 (application.yml에서 url, username, password 를 삭제 -> 환경변수로 추가할 것) https://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