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Whitelabel Error Page 대신 원하는 에러 페이지 적용

2024. 4. 4. 13:25· Spring Boot
목차
  1. 1. Whitelabel Error Page
  2. 2. HTTP Response Status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
  3. 3. HTTP Response Status Code 에 따른 에러 페이지 적용
  4. 3-1. 구현

1. Whitelabel Error Page

  • 스프링 부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에러 페이지에 해당
  • 구체적인 에러 페이지가 설정되지 않았을 때 Whitelabel Error Page가 나타나게 됨

Whitelabel Error Page 예시 (403 에러 발생 시)

 

2. HTTP Response Status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나타내는 코드
  • 특정 범위에 따라 분류됨
    • 1xx (정보) : 요청을 받았고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함
    • 2xx (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음
    • 3xx (리다이렉션)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함
    • 4xx (클라이언트 오류) : 클라이언트 쪽에 문제가 발생해서 요청을 거절함
    • 5xx (서버 오류) : 서버 쪽에 문제가 발생해서 요청이 거절됨
  • 대표적인 예시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
    • 301 Moved Permanently :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다른 URL로 변경됨 -> 변경된 URL로 요청하라는 뜻
    • 400 Bad Request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 403 Forbidden : 클라이언트가 권한이 없어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 404 Not Found : 서버가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 내부 오류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인 404 응답 코드

 

3. HTTP Response Status Code 에 따른 에러 페이지 적용

  • 스프링 부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에러 페이지 말고 내가 원하는 에러 페이지를 출력하고 싶음
  • 응답 상태 코드에 따라 다른 에러 페이지 적용 가능
    • 추가) 400번대, 500번대 등의 범위로도 에러 페이지 적용 가능
  • 프로젝트의 resources > templates 에 error 디렉토리 생성 후 적용하고 싶은 응답 상태 코드의 번호를 이름으로 지정한 html 생성
    • ex) 404.html / 4xx.html 등
    • 4xx 등으로 지정한 범위의 에러 페이지 보다 404 등과 같이 자세한 응답 코드가 우선순위가 더 높게 적용됨!

 

3-1. 구현

  • resources > templates > error > 4xx.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에러 페이지</title>
</head>

<body>
    <h1>400 번대 에러 발생</h1>
</body>

</html>

 

  • resources > templates > error > 404.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에러 페이지</title>
</head>

<body>
    <h1>404번 에러 발생</h1>
</body>

</html>

저작자표시 변경금지 (새창열림)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프로젝트에 Swagger 적용, Swagger 어노테이션 정리  (0) 2024.05.11
[Spring Boot] 로그인 기능 구현 (9) - 자동 로그인 구현 (Spring Security - Remember Me)  (0) 2024.05.05
[Spring Boot] 스프링 메일 전송 방법 ( + google Gmail SMTP 설정)  (0) 2024.03.28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엑셀 파일 업로드 예제( + 엑셀 파일 열기로 업로드 확인 )  (0) 2024.03.28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엑셀 파일에 데이터 쓰기  (0) 2024.03.27
  1. 1. Whitelabel Error Page
  2. 2. HTTP Response Status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
  3. 3. HTTP Response Status Code 에 따른 에러 페이지 적용
  4. 3-1. 구현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 Boot] 프로젝트에 Swagger 적용, Swagger 어노테이션 정리
  • [Spring Boot] 로그인 기능 구현 (9) - 자동 로그인 구현 (Spring Security - Remember Me)
  • [Spring Boot] 스프링 메일 전송 방법 ( + google Gmail SMTP 설정)
  •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엑셀 파일 업로드 예제( + 엑셀 파일 열기로 업로드 확인 )
공대생안씨
공대생안씨
전자공학과 학부생의 코딩 일기
티스토리
|
로그인
공대생안씨
공대생의 코딩 일기
공대생안씨
글쓰기
|
관리
전체
오늘
어제
  • All Categories (153)
    • Spring Boot (46)
      • JPA (7)
      • Lombok (2)
    • Java (21)
    • DevOps (3)
      • CI,CD (8)
      • Monitoring (2)
    • Database (7)
      • MySQL (5)
      • MongoDB (1)
      • H2 (1)
    • Trouble Shooting (5)
    • FE (4)
    • IntelliJ (3)
    • Git (3)
    • Algorithm (4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Github

공지사항

인기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공대생안씨
[Spring Boot] Whitelabel Error Page 대신 원하는 에러 페이지 적용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